스타트업에서 회사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변곡점에 더이상 열정만으로 움직일 수 없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상품의 스펙만큼 스토리텔리잉 중요하다
컬리 스타일을 유지하되 핵심은 무엇인가? 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 꾸준히 진화해왔다
현재는 구매 목적성과 이유에 초점을 맞춘 핵심 콘텐츠를 만드는데 집중하고 있다
예) 기저귀에 대한 상품 콘텐츠 담당자가 갈아본적 없어 맘카페 정보 찾다가 만든 문구
' 오죽하면 기저귀 유목민이라는 말이 생겨났을까요?'
초반에는 잡지를 보며 어떻게 하면 시각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결과물을 표현할지 고민 거듭
핵심은 고객의 언어와 고객의 시각은 맞춰내는 일
콘텐츠 기획은 내 상품의 장점을 찾는 작업이 아니다
상품의 효용을 고객의 입장에서 찾아 강조해주는 일이라는 걸 잊지말라
바이럴 마케팅이 중요하다 - 이른바 마케팅하지 않은 마케팅
아하포인트 - 문앞에서 컬리를 확인한 순간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아하 포인트를 경험하기 위해 비싼 물건 100원 이벤트 실시
마케팅의 관점도 항상 고객의 관점이어야 한다.
요리를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난 식재료에 데우거나 끓이는 등 간단한 조리만 하면 되는 RTC 시장
밀레니얼 가족-밀레니얼 주부들은 더이상 육아 요리 청소 등 가사를 우선하기 보다 자신의 성장과 가족의 새로운 관계모섹 (2019 트렌드 코리아)
고객 페르소나 -자신의 밭을 가꿀정도로 먹는 것에 깐깐한 30~40대 일하는 여성으로 가족들에게 좋은 걸 먹이고 싶어 하는 워킹맘
데멍이를 비롯해 각종 알람 봇들은 30분 단위로 매출 알람, 프로모션알람, 재고 서치로그 주문수량 등 다양한 데이터를 물어다 주고 있다.
데이터 농장 - 데이터 본질은 무엇인지 중요하다. 어떤 데이터를 왜 어디에다가 쓸것인지?
데이터 분석은 과정일 뿐 목적이 아니다. 데이터를 분석하는데서 역할이 그쳐서는 안된다
또한 특정 전문가 일부에게만 데이터 분석을 맡기면 거기에 의존하게 되어 종속될 수밖에 없다
마켓컬리의 모든 직원은 대시보드에서 판매 예측 정보와 실시간 판매 현황 등 각종 수치를 수시로 점검하고, 평소와 다른 패턴이나 숫자가 발견되면 그 이유를 스스로 묻고 따질수 있다.
이를테면 마케팅팀이 매출, 가입자수를 파악하고 있다가 당일 신규 고객의 구매 전환율 데이터를 보고 미흡하다고 생각 들면 그에 맞는 마케팅 플랜을 짜로 바로 실행해보는 식이다.
개발팀 내부에서는 작은 개선 정도로 생각했던 일이 운영상에서는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걸 경험한 순간이었다.
'달리는 자동차의 바퀴를 갈아 끼우는 과정'-고객 편의를 증진하는 작업이 고객에게 느껴져서는 안된다는 점
에필로그>
구성원이 모두 바뀐다고 해도 고객이 느끼지 못할 만큼 업무가 동일하게 진행되는 운영 프로세스의 시스템화가 필요하다.
MD의 KPI 가 상품 품질과 VOC 해결 역량이다.
아마존 창업자 - 대기업병으로 부터 아마존을 지키는 4가지는
-진정한 고객지향
-절차화에 대한 저항
-최신 트렌드에 대한 신속한 대응
-빠른 의사결정시스템
트렌드 시대에 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바꿀 것인가에 대한 인사이트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하는 방법 (0) | 2024.08.04 |
---|---|
글로벌 고령화 위기인가 기회인가ㅡ폴어 빙 (0) | 2024.08.04 |
언카피어블 책리뷰 스타트업 창업하기전에 꼭 읽어야 할 책 (0) | 2024.07.24 |
마음 지키는 지혜 (0) | 2024.06.09 |
책 요점 정리 ㅡ ai로 일하는 기술 (0) | 2024.05.27 |
댓글